대우 B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 BV는 1982년에 출시된 리어 엔진 버스로, 이스즈 자동차의 섀시와 바디 스타일을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현대 RB와 경쟁했다. BV101과 BV113 두 종류가 있으며, BV101은 도시형 버스, BV113은 시외 및 관광 버스 모델로 사용되었다. BV101은 1986년에 단종되었고, BV113은 여러 차례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1996년에 최종 단종되었다.
이스즈 자동차의 섀시와 바디 스타일을 그대로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현대 RB와 경쟁하는 리어 엔진 버스였다. 전작인 새한 BU와 동일한 차체를 가졌다. 차종은 BV101, BV113 등 2종류가 있다.[1]
자일대우 BV는 BF, BU, BR과 마찬가지로 이스즈 자동차의 섀시와 바디 스타일을 그대로 활용하여 만들어졌으며, 리어 엔진 버스로는 현대 RB와 경쟁하였다. 전작인 새한 BU와 동일한 차체를 사용했다.
2. 특징
3. 주요 차종
BV101과 BV113 두 종류가 있었다. BV101은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생산되었고 주로 도시형 버스로 사용되었다. BV113은 1982년부터 1996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시외버스 및 관광버스 용도로 활용되었다.
3. 1. BV101 (1982년~1986년)
1982년 BR101을 토대로 도시형 입석 버스화하여 출시된 모델이다. BF101의 리어엔진 버스 차종이라는 별칭을 얻어 도시형 버스 차종의 표준화에 기여했다. 엔진은 BF101, BR101과 같은 6기통 D0846HM-V(7,255cc) 수직 실린더 엔진을 탑재했다. 서울 시내버스에서는 같은 해 10월 공항버스에서 125번 (現 6631번)과 128번 (現 605번)에 투입되었다.[1]
초기에는 "다음 정류소에 정차합니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초록색 아크릴판 하차벨을 사용했으나, 1984년 하반기에 출시된 1985년형부터는 BS105와 같은 크롬 도금 하차벨로 변경되었다. 1984년 10월에 1985년형으로 변경되면서 외눈박이형 BS105와 동일한 2스포크 핸들로 바뀌었다.[1]
BV101은 다양한 사양으로 출시되었다.구분 세부 모델 시내 자율 표준 전중비형 중문 슬라이딩 자동문 차량 시내 도시형 전중비형 중문 폴딩 차량 시내 직행 좌석 일반형 패널바디 전비형, 고급형 스테인레스바디 전비형 시외 급행 일반형 대우 패널바디 전비형, 고급형 스테인레스바디 전비형 시외 완행 일반형 대우 패널바디 전비형, 고급형 스테인레스바디 전비형, 중비형 중문형 차량 시외 직행 일반형 패널바디 전비형, 고급형 스테인레스바디 전비형, 중비형 중문형 차량 관광 일반형 패널바디 전비형, BV101S 패널바디 전비형, BV101S 고급형 스테인레스바디 전비형 자가용 일반형 패널바디 전비형, BV101S 표준형 패널바디 전비형, BV101S 고급형 스테인레스바디 전비형
1984년 BR101과 BV101로 모델 차량, 사양 모델명이 같이 정리 통합되었다.[1]
주로 대도시 시내버스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1986년 2월 중순부터 후속 모델인 BS105가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고가 남아 병행 생산되다가 1986년 4월에 공식 단종되었다. 변종 차량으로 고급형 모델인 BV101S가 있었으며, BV101S는 1983년 7월에 출시되었다가 1986년 4월 BV101과 함께 단종되었다.[1]
3. 2. BV113 (1982년~1996년)
1982년 1월 SMC 새한 BV113 리어엔진버스는 BH120과 BU110의 73SC 모노코크 차체와 새시 구조를 이어받아 생산된 차종으로, 준 고속버스급에서는 현대자동차의 RB585와 경쟁하기 위한 모델이었다. 엔진은 6기통 D2156HM-V(239마력, 10,350cc)를 탑재했다. 기존 BU110은 수평 배열 실린더 엔진이었던 반면, BV113은 수직 배열 실린더 엔진을 사용하여 엔진룸 부피가 커져 실내 공간 활용이 불리해졌으나, 전장을 11.3m로 늘려 이를 보완하였다. BV113은 여러 시외버스 및 관광버스 회사에서 도입한 차종 중 하나이다.[1]
1983년 3월에는 스테인레스 바디와 밀폐형 유리를 선택사양으로 적용 가능한 고급형 모델인 대우 BV113S와 대우 BV113R이 출시되었고, 1984년 10월에는 BV113R을 더욱 고급화한 대우 BV113Q가 출시되었다. 1986년에는 엔진이 D2156HM-V에서 D2366(240마력, 11,051cc)으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9월 가을에는 BH115H 로얄 익스프레스의 리어램프와 헤드램프 부품을 사용하여 페이스리프트되었으며, 1987년 9월 대우 BV113Q로 통합되었다.[1]
1989년 BV113은 BS105와 같은 차체의 장축형 스켈레톤(골조식) 차체로 전면 교체(풀 모델 체인지)되어 BV113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서울 시내 좌석버스에도 도입되어, BS106 하이파워의 롱바디 사양 정도의 등급으로 격하되었다. 속도등(스피드램프)도 선택 사양이었다.[1]
1994년 페이스리프트된 후속 모델 BH113 로얄 에이스 출시 이후에도 병행 생산되다가 1995년 가을 전면부 디자인이 둥근 모양에서 각진 모양으로 변경되었고, 1996년 1월에 최종 단종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